인기 글
-
[전기 이론] Y결선, Δ(델타)결선
3상 전력의 결선방법은 크게 Y결선과 Δ(델타)결선으로 나눌 수 있다. Y결선은 Y자의 모양으로 각 상이 같은 위상을 가지고 한 쪽 끝에 공통선으로 접속되어 중성점을 구성한다. 델타결선은 삼각형 모양으로 각 꼭지점에서 접속된다. 여기서 알아야하는 용어는 선간전압(線間電壓, Line Voltage), 상전압(相電壓, Phase Voltage), 선전류(線電流, Line Current), 상전류(相電流, Phase Current)를 알아야 하며 다음 그림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그림과 같이 상전압과 선전압은 각 상에 걸리는 전압과 전류를 의미하며 선간전압과 선전류는 선끼리의 전압과 전류라고 할 수 있다. Y결선에서는 선간전압이 상전압보다 √3배 크며 220V에 √3을 곱하면 약 380V의 값이 나온다. Δ..
2023.10.17
-
[전기 실무] 분전반
많은 사람들이 분전반과 배전반을 헷갈려 하는데 분전반(分電盤, Panel Board)은 전기를 전열, 전등 등으로 나눠서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배전반(配電盤, Distribution Switchboard)은 분전반으로 전력을 보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분전반 내부는 크게 배전반에서 받은 전력을 차단하는 주차단기, 주차단기를 통해 들어온 전력을 각 알맞은 부하에 공급하는 분기차단기, 주차단기와 분기차단기를 연결하는 부스바(Bus Bar)로 구성되어 있다. 분전반의 경우 상가 같은 곳에서는 큰 분전반을 사용하지만 가정용으로는 주로 세대분전반을 사용한다. 분전반에 차단기를 설치할 시 유의할 점은 과거에는 주차단기를 누전차단기, 분기차단기를 배선차단기로 구성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런 경우 누전 사고가 발생하게..
2024.01.15
-
[전기 이론] 전동기 원리
전동기(電動機, Electric Motor)는 전기 에너지를 회전운동 에너지로 전환하는 기계로 이를 통해 여러 동력 장치를 만들 수 있고 크게 직류 전동기와 유도 전동기로 나눌 수 있다. 직류전동기(Direct Current Motor)는 원리는 전선의 왼쪽은 전류가 나가는 방향, 오른쪽은 전류가 들어가는 방향으로 전선 주변에 자기장이 만들어지게 된다.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자석과 전선의 자기장의 차이로 인하여 왼쪽의 전선은 위로 힘을 얻고 오른쪽 전선은 아래 방향으로 힘을 얻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직류 전동기는 대부분 소형 전동기의 전원을 사용하며 예시로 우리가 예전에 가지고 놀던 미니카의 모터를 들 수 있다. 유도 전동기(Induction Motor)는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
2023.04.29
-
[전기 이론] 배전
전기는 발전소에서 출발하여 변전소를 지나 수용가로 공급되는데 발전소에서 변전소까지를 송전이라고 하면 변전소에서 수용가로 전기를 나눠주는 것을 배전(配電, Electric Power Distribution)이라고 한다. 보통 배전의 방식은 전봇대를 이용한 가공전선로, 땅속에 묻는 지중전선로로 배전을 한다. 가공전선로에서 전봇대의 원래 명칭은 전력선이 지나가는 전주(電柱, Electric Pole)와 통신선이 지나가는 통신주(通信柱, Communication Pole)로 나눌 수 있지만 대게 전력선과 통신선이 복합적으로 지나가기 때문에 전신주(電信柱, Utility Pole)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전신주의 고압부를 살펴보면 많은 부속 자재들이 들어가지만 크게 보면 가장 맨 위에는 전신주를 지지하고 벼락으로..
2023.12.11
-
[전기 이론] 지상전류, 진상전류
지상전류(遲相電流, lagging Current)는 전류파형이 전압파형보다 늦게 시작하는 것으로 인덕터를 예로 들 수 있다. 반대로 진상전류(進相電流, leading Current)는 전류파형이 전압파형보다 빨리 시작하는 것으로 커패시터를 예로 들 수 있다. 저항의 경우에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같기 때문에 동상(同相, In Phase)으로 볼 수 있다. 지상전류는 전압보다 전류의 위상이 90° 더 느리고 진상전류는 전압보다 전류의 위상이 90° 더 빠르며, 이로 인하여 유도리액턴스와 용량리액턴스의 부호가 다른 것이며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면 유도리액턴스와 용량리액턴스의 값이 같게 되면 리액턴스 값이 최소화될 것이고 전류를 방해하는 저항만 남아 전류의 크기가 가장 크게 되는데 이를 공진(共..
2023.10.16
-
[전남 영암] 대양회관/백반
1. 매장정보매장명 : 대양회관매장 주소 : 전남 영암군 영암읍 영암로 1372영업 시간 : 11:00 - 21:00(연중무휴)매장 전화번호 : 061-473-6565 2. 매장 분위기 3. 메뉴판 4. 음식 5. 평가분위기 : 정말 오래되고 옛날 분위기의 식당이였다. 정감가고 시골 할머니 집에 놀러온 것 같았지만 테이블에 먼지가 좀 있는게 청결적인 부분들이 살짝 아쉬웠다.(3.0/5.0)맛 - 백반 : 집에서 먹는 정갈한 집밥이였고 맛도 전체적으로 괜찮았다. 특히, 오징어 초무침은 살이 오동통하니 새콤해서 맛있었고, 돼지 불고기는 자극적이지 않은 양념과 불향의 조화가 잘 어울렸는데 양이 살짝 아쉬웠다.(4.0/5.0)총평 : 주변에 먹을 때가 없어서 먹게 되었는데 나름 나쁘지 않았던 것 같다. 가격대비..
2024.05.24
-
[전기 실무] 콘센트, 스위치 배선
콘센트와 스위치를 배선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전기 기술자는 콘센트와 스위치를 배선하는 방법에 대해서 숙지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주의할 점으로는 반드시 차단기를 내리고 작업하는 습관을 만들어야 하며, 항상 콘센트와 스위치 단자를 접속할 시에 똑바로 해야 한다. 가장 먼저 콘센트의 구조를 살펴보면 크게 전원 단자와 접지 단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녹색, 회색 핀을 일자 드라이버로 누르면 전선과 분리할 수 있다. 스위치도 마찬가지로 드라이버를 통해 전선과 분리할 수 있다. 전선과 접속할 때는 전원 단자의 구멍에 넣어 잘 접속해주면 된다. 가장 먼저 콘센트 배선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하는데 여기서 빨간선은 전원선, 파란선은 중성선, 녹색선은 접지선이다. 스위치는 회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주로..
2024.04.02
-
[전기 실무] 배선지지
전선관과 덕트의 경우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보수 및 수리를 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며 케이블을 노출하여 시공해야 되는 경우에는 대표적으로 케이블 트레이(Tray)를 사용한다. 케이블 트레이를 시공하면 대체로 천장이나 벽에 시공하며 덕트와 다르게 뚫려 있어 통풍이 잘 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케이블 트레이의 종류는 사다리형, 바닥 밀폐형, 펀칭형, 메시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사다리형이 주로 사용된다. 사다리형 트레이는 기본적으로 넓이(W), 길이(L), 높이(H)로 규격화되어 있으며 추가로 렁(Rung)이 규칙적으로 있다. 다음 바닥 밀폐형은 말 그대로 바닥이 밀폐되어 있어 물리적으로 보호효과가 크지만 방열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펀칭형 트레이는 바닥에 조그만한 구멍이 있으며 방..
2024.02.06
-
[전기 이론] 전동기의 종류
전동기는 작동방식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로 나눌 수 있으며 크게 다음 그림과 같이 나눌 수 있다. 1. 직류 전동기 1-1) 브러시 전동기 - 고정자와 회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자는 계자극과 프레임으로 되어 있으며, 스크류나 볼트로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다. 회전자의 경우 전기자, 정류자, 브러시로 구성되어있다. - 동일 방향의 회전 토크를 얻기 위해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류를 교류로 바꿔주기 위해서 정류자와 브러시가 있다. - 고정된 브러시에 정류자가 접촉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마모, 분진, 소음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1-1-1) 직권 전동기 - 계자극 권선과 전기자 권선이 직렬로 연결된 직류 전동기 - 기동 토크가 크며, 부하가 적어지면 속도는 상승하기 때문에 완전 무부하 시에 속도가 매우 빨..
2023.11.06
-
[전기 이론] 인덕턴스, 커패시턴스, 리액턴스, 임피던스
전자제품에는 전자회로기판이 들어가고 회로기판에는 다양한 소자들이 들어가는데 이 때, 전기에 관련하여 가장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소자들은 대표적으로 레지스터, 인덕터, 커패시터이다. 레지스터(Resistor)는 저항기(抵抗器)라고도 부르며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여 전자제품의 조절을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 예로 선풍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인덕터(Inductor)는 리액터(Reactor)라고도 부르며 전류를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는 전원스위치를 키거나 끌 때 발생하는 급격한 전류 변화를 막고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인덕터가 가지고 있는 성질을 인덕턴스(Inductance)라고 하고 기호로 L, 단위는 H(헨리)를 사용하며 관련 수식은 아래와 같다. 아래의 식에서 코일..
2023.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