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19 [전기 이론] 전압 승압의 장단점 전압을 승압하게되면 전압 강하, 전력 손실, 전선의 단면적이 감소하고 공급 전력, 전력 공급 거리가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아래와 같이 공급 전력과 전력의 공급 거리는 전압의 제곱의 비례하여 승압 시 전력과 거리가 제곱하여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전력 손실과 전압 강하의 경우 전압에 반비례하며 승압 시 반비례하여 감소하며 이 각각의 비율은 제곱하여 감소하고 전선의 단면적은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승압을 하게 되면 전력 손실 및 전압의 강하가 감소하고 전력과 거리가 증가하기 때문에 효율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고 효율이 좋기 때문에 더 가는 전선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더 높은 전압으로 승압할 수 없는 이유는 전압이 높아졌.. 2023. 6. 26. [전기 실무] 전기 공사 각 종 공구 전기 공사를 할 때 각 종 공구가 사용되는데 대표적인 사용되는 공구는 다음과 같다. 1. 공구 벨트 : 다양한 형태와 모양이 있지만 각 해당 주머니에 공구를 꽂아 사용하며 현장에서는 "사쿠"라고 부르기도 한다. 2. 다목적 가위 : 다양한 공종에서도 사용하지만 전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전선의 피복을 벗기거나 CD관과 같은 플라스틱관을 자를 때 사용하며 현장에서는 "쪽가위", "가위"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3. 줄자 : 건설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치수를 재기 위해 사용한다. 4. 쥐꼬리톱 : 실내 인테리어 공사에서 석고로 마감된 천장과 벽을 타공하는 데 많이 사용된다. 5. 요비선 : 파이프 속에 전선을 집어 넣을 때 사용한다. 6. 충전 드릴 : 등기구나 배선 기구를 취부할 때 많이 사용한다... 2023. 6. 24. [전기 이론] 콘센트, 플러그 다양한 전자제품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콘센트와 플러그가 필수이다. 콘센트는 사실 우리나라에서만 사용하는 일본식 영어로 정확한 용어는 Wall Socket, Electrical Outlet이라고 한다. 콘센트는 세계적으로 여러 개의 표준이 있으며 각 모양들은 국가별로 다르게 사용하고 있으며 플러그와 콘센트는 사용자를 도체로부터 보호해야 하기 때문에 외부환경이나 충격에도 쉽게 손상되면 안 되고 내부구조가 전기적, 기계적으로 안전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콘센트는 플러그의 전극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깊이와 구조를 가져야 하며, 플러그가 연결되었을 때 부하 측과 전원 측 간의 접지극이 연결되어야 한다. 또한 플러그를 꽂았을 때 구멍 2개에 동시에 힘이 들어가야 도체와 만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야 하.. 2023. 6. 17. [전기 이론] 조명 우리 생활 속에서 조명은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이다. 현재 우리 실생활에서는 형광등과 LED(Light Emitting Diode)를 많이 사용하며 그 중 LED로 많이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LED는 다른 말로 발광다이오드라고도 부르는데 이 발광다이오드는 전기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바꿔주는 반도체이다. 반도체는 실리콘과 게르마늄을 재료로 사용하는데 여기에 불순물을 혼합하게 되면 반도체 내부에 여유 전자가 생기거나 공간이 발생한다. 이러한 반도체를 결합시킨 것을 P-N접합 다이오드라고 한다. P-N 접합으로 이루어진 LED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에너지를 받아 P타입에서 정공이 이동하고 N타입에서 전자가 이동한다. 전자와 정공은 서로를 끌어당기기 때문에 중간에서 만나 전자-정공 쌍으로 합쳐지면서 광자와 빛.. 2023. 6. 17. [전기 이론] 푸쉬 버튼, 램프 색상 분전반이나 제어반의 경우 제어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푸쉬 버튼의 색상과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램프의 색상을 KS C IEC 60204-1 기계류의 안정성 - 기계의 전기 장비 - 제1부: 일반요구사항에서 기준을 정해놨다. KS C IEC 60204-1 기계류의 안정성 - 기계의 전기 장비 - 제1부: 일반요구사항 10.2.1 색상 - 기동/투입 액추에이터의 색상은 흰색을 기본으로 하되 흰색, 회색, 검은색 또는 초록색을 사용할 수 있다. 빨간색은 사용해서는 안 된다. - 빨간색은 비상 정지 및 비상 전원 차단 액추에이터에만 사용되어야 한다.(비상시 사용이 예상되는 공급 차단 장치 포함). 액추에이터 바로 주변에 배경이 있으면 배경은 노란색으로 표시된다. 빨간색 액추에이터와 노란색 배경의 조합은 비상.. 2023. 6. 8. [전기 이론] 스위치, 차단기 스위치(Switch)는 손으로 버튼이나 핸들을 올리고 내리거나, 눌러서 동작을 시킨다. 차단기도 마찬가지로 올리거나 내려서 회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같을 수 있지만 스위치는 주로 On/Off의 이분법적인 동작만 수행하며 전기회로는 두 선으로 전기에너지를 보내며 동작하는데 이 중 하나의 선만을 이용해서 여닫는 기기가 바로 스위치다. 스위치는 용량이 비교적 작고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적절한 위치를 선정하고 내구성이 강해야 한다. 반대로 차단기는 전기회로를 끊는 단순한 역할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회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능동적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하나의 선만이 아닌 모든 회로를 차단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스위치와 다르다. 또한 스위치보다 용량이 크고 자주 .. 2023. 6. 8. 이전 1 ··· 44 45 46 47 48 49 50 ··· 5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