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19

[전기 이론] 인버터 인버터(Inverter)는 주로 직류를 교류로 바꾸기 위한 전력 변환 장치로 사용된다. 인버터는 직류를 교류로 바꾸는 것뿐만이 아닌 전압의 크기나, 주파수도 변환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직류 전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배터리의 출력에서 사용하는데 이러한 형태의 직류를 가정에서 사용하는 상용 전원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원계통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인버터를 사용이 필요하다. 인버터의 간단하게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그림과 같다. 위의 회로도처럼 파란색 스위치를 닫으면 전등의 왼쪽에 +극, 전등의 오른쪽에 -극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아래의 회로도는 빨간색 스위치를 닫으면 전등의 오른쪽에 +극, 전등의 왼쪽 -극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스위치를 통하여 전등의 극을 지속적으로 바꿀 수 있다. 이를 1초에.. 2023. 4. 15.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서평 1. 책 정보 도서명 :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저자 : 데일 카네기 번역 : 임상훈 출판사 : 현대지성 책을 선택한 이유 이전에 데일 카네기 책이 유명하다고 들어서 한 번 읽어보고 싶어서 읽게 되었다. 간단한 줄거리 저자의 가르쳤던 학생이나 본인이 겪은 경험들을 토대로 인간관계를 어떻게 가져야 할지 단순한 원칙들을 적용하여 이 원칙들을 실생활에서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평가 이 책을 읽으면서 소제목을 통해서 어떠한 원칙이 나오는지 예상이 되고 그 원칙들을 저자의 경험이나 역사적 사례들을 근거로 하여 실생활에서 다양한 원칙들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알려주며 마지막에는 간단한 문장으로 무엇을 해야되는지 결론을 내는 방식으로 책을 구성했고 인간의 심리를 잘 분석해서 나의 경험과 .. 2023. 4. 13.
[전기 이론] 변압기 변압기는 영어로 Transformer, 한자로 變壓器로 변형된다는 의미로 상호유도원리를 이용하여 교류 전압을 낮추거나 높이는 데 사용하는 기기이다. 변압은 2가지로 나뉘는데 전압을 높이는 기기는 승압기, 전압을 낮추는 기기는 강압기라 한다. 우리나라의 변압시스템은 아래와 같으며,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10kV~20kV의 전압을 765kV로 승압하고 765kV를 365kV/154kV를 강압하고 또 낮춰진 전압을 22.9kV로 강압하여 큰 전기를 사용하는 곳은 22.9kV를 받아서 사용하며 가정에서는 이를 더 강압하여 220V, 380V로 사용한다. 변압기의 원리는 1차 측의 코일의 교류 전류를 넣게 되면 전류는 코일을 통과하며 자속을 만들게 된다. 이 자속은 철심을 타고 반대편 코일로 이동하여 반대쪽 코일은.. 2023. 4. 9.
[전기 이론] 상(Phase) 전기에서는 상이라는 용어가 있는데 영어로는 Phase, 한자로는 相이라고 한다. 이 상의 의미는 물리학에서 어떤 물질이 가지는 일정한 물질의 상태를 의미한다. 이전의 설명했던 직류와 교류 파트에서 교류 발전기를 보면 전기자가 회전하게 되면서 전류의 방향이 일정 시간마다 변화하고 아래 그림의 그래프처럼 하나의 위상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를 단상이라고 한다. 즉, 시간에 따라 흐르는 방향과 크기가 하나의 교류 전압과 그에 대응하는 전류만이 있는 경우를 단상(Single Phase, 單相)이라고 한다. 이 단상은 가정에서 쉽게 볼 수 있는데 콘센트를 보면 구멍이 2개이고 콘센트를 뜯어보면 2개의 선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1개의 선은 전력선(Hot Wire) 또 하나의 선은 중성선(Natu.. 2023. 4. 8.
[전기 이론] 주파수란 ? 물체가 특정 시간 동안 몇 번을 진동했는지를 진동수라고 하는데 전기에서는 이를 주파수라고 한다. 주파수는 영어로 Frequency, 한자로는 周(두루 주)波(물결 파)數(셀 수)라고 하며 단위는 전자기파의 존재를 실험적으로 입증한 하인리히 헤르츠의 이름을 따서 Hz(헤르츠)를 사용한다. 주파수는 빛, 소리 등에서도 널리 사용되며 보통 진동은 기계나 물건을 통해서 전달되지만 전자파는 공간을 통해서 이동한다. 주파수는 클수록 높은음이 나타나며, 작을수록 낮은음이 난다. 여기서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를 가청주파수(Audio Frequency)라고 한다. 주파수는 한 번 진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인 주기, 어떤 파형이 시작된 점부터 다시 원래까지의 점 사이의 거리인 파장(Wavelength)이다. 주파수에 관.. 2023. 4. 2.
[전기 이론] 직류와 교류 전기에서는 직류와 교류의 2가지 형태로 흐르게 된다. 직류는 한자로 直(곧을 직)流(흐를 류)이며 영어로는 Direct Current 준말인 DC이다. 교류는 交(오고가다 교)流(흐를 류)이며 Alternating Current 준말인 AC이다. 직류는 곧게 흐른다는 의미를 가지며 전류의 방향이 한 쪽으로 흐르는 것으로 극성이 바뀌지 않고 +극에서 -극으로 전류가 흐른다. 대표적인 예시로 건전지가 있다. 교류는 극성이 교차하며 흐른다는 의미를 가지며 극성이 지속적으로 바뀌어 전류의 방향이 지속적으로 바뀐다. 그렇기 때문에 건전지 같은 경우에는 극성에 맞게 건전지를 껴줘야하지만 콘센트와 플러그를 보면 콘센트를 위, 아래로 바뀌어 껴도 상관이 없다. 전류가 한 번씩 왕복하여 변화하는 것을 1사이클이라 하며 .. 2023. 4. 2.
728x90
반응형